Slow Thinking

Slow Thinking

  • 분류 전체보기
    • Dapp
      • EOS Dapp
      • STEPN
    • Computer
      • Algorithm
      • DataStructure
      • Web
      • Chrome Extension
      • Agile
      • Arduino
      • Server
      • Blockchain & CryptoCoin
      • Kubernetes
      • Data
      • Apple Ecosystem Insights
      • Java
      • PHP
      • SPARC
      • Javascript
      • NextJs
      • Hack
      • Pomelo
      • 하루 3분 웹 공부
    • Projects
      • Pine Script Tutorial
      • TJSSM
      • CIC
      • Fleapers
      • 생태농업
    • Etc
      • 제주살이
      • Wordpress
      • Ethereum
      • Lens 투상
      • 경험담
      • 시
      • 생각
      • 자작시
      • Scrap
      • 독서
      • ProjectRoom
      • 요리
      • 기타
      • 건축
    • 2016
      • February
  • 홈
  • 방명록
  • 조대협의 블로그
  • 재근
  • 우투리와툴툴
  • 사기란 무엇인가
  • :: ENJOY ::
  • soowan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Slow Thinking

컨텐츠 검색

태그

스태픈 스테프니쿠스 노지딸기 m2e 스테픈 SwiftUI nft Kotlin SOLANA GST 별앗간농부들 StepN kubernetes GMT sol 니체 오블완 ios 티스토리챌린지 제주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Computer/DataStructure(3)

  • [자료구조] MergeSort

    합병정렬 알고리즘 구현 특징 1. Stable 한 정렬이다. 2.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므로 in-place algorithm 형식이 아니다. ** in-place algorithm 이란 적은 공간으로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고 한다. (In-place is an algorithm which transforms input using a data structure with a small, constant amount of extra storage space.) 출처: 위키피디아 구현 KEY POINT 1. 분할을 한다 ( 더이상 쪼갤 수 없을 때까지 "/2" 로 인덱스를 나누어 계속 쪼갠다. ) lgN 2. 병합한다. ( 쪼개어진 값들을 다시 뭉친다. 뭉치면서 값을 비교하여 정렬한다. ) N 속도 : ..

    2015.03.17
  • [자료구조] Double-Ended Queue (Dequeue) and Randomized Queue

    Double-Ended Queue (Dequeue) and Randomized Queue 더블엔디드큐 1. pop function call : 값 반환이 앞으로, 뒤로 가능함 ( removeFrist,removeLast ) 2. push function call : 값 삽입이 앞으로, 뒤로 가능함 ( addFirst, addLast ) 랜더마이즈 큐 1. dequeue function call 랜덤한 값을 반환하도록 한다. 2. enqueue function call 시에 할당된 Array 가 가득차있을경우 자동으로 늘려준다. MutableArray ! DOUBLE-Ended Queue ( Dequeue ) 아래의 코드는 부여된 Interface 에서 함수를 작성한 것이다. 이게 답이라고는 얘기할 수 없..

    2015.03.15
  • 다익스트라

    Dijkstra algorithm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알고리즘 개요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은 각각의 꼭짓점 v에 대해 s에서 v까지의 최단 거리 d[v]를 저장하면서 작동한다. 알고리즘의 시작 시에 이 값은 s에 대해서는 0이고, (d[s]=0) 다른 모든 꼭짓점에 대해서는 무한대(∞) 값으로 놓아 다른 꼭짓점에 대해서는 아직 최단 경로를 모른다는 사실을 표시한다. 알고리즘이 종료되었을 때 d[v]는 s에서 v까지의 최단 경로의 거리를 나타내게 되고, 만약 경로가 존재하지 않으면 거리는 여전히 무한대로 남는다.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은 변 경감(edge relaxation)이라고 불리는 기본 연산을 바탕으로 한다. s에서 u까지의 최단 경로(d[u])를 이미 알고 있고, u에서 v까지의 변 (u, v)가 존재할 ..

    2015.01.22
이전
1
다음
GiPyeongLee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