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109) 썸네일형 리스트형 [Swift] Identifiable, Codable, Hashable Protocol Swift에서는 프로토콜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로토콜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이며, 이 프로토콜을 채택한 타입은 프로토콜의 요구사항을 구현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사용자 모델을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Identifiable, Codable, Hashable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사용자 모델 구조체 정의 예제아래는 User라는 구조체를 정의하고 Identifiable, Codable, Hashable 프로토콜을 채택한 코드입니다.import Foundationstruct User: Identifiable, Codable, Hashable { let id: String let fullname: String let emai.. [SwiftUI] Combine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구독 및 업데이트 SwiftUI와 Combine은 iOS 앱 개발에서 비동기 데이터 처리를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줍니다. 특히, @Published와 Combine의 구독 기능을 활용하면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때마다 뷰를 자동으로 새로고침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ProfileViewModel 예제를 통해 SwiftUI에서 Combine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코드 예시: ProfileViewModelclass ProfileViewModel: ObservableObject { @Published var currentUser: User? private var cancellables = Set() init() { .. [SwiftUI] LazyVStack: 효율적인 수직 스크롤 레이아웃 SwiftUI에서 LazyVStack은 많은 양의 콘텐츠를 수직으로 나열할 때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LazyVStack의 개념, 동작 원리, 기본 사용법, 그리고 고급 활용법을 소개하겠습니다.LazyVStack이란?LazyVStack은 SwiftUI에서 스크롤이 가능한 수직 스택으로, 필요할 때만 콘텐츠를 렌더링하는 방식입니다. 많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때 메모리와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LazyVStack을 사용하면 유용합니다. 일반 VStack은 모든 자식을 즉시 렌더링하는 반면, LazyVStack은 화면에 보이는 항목만 렌더링하므로 더 많은 성능 이점을 제공합니다.기본 원리LazyVStack은 지연 로딩을 통해 스크롤할 때 화면에 보여지는 항목만 렌더링합니다. 이는 메모.. [SwiftUI] NavigationStack: 새로운 네비게이션 방식의 이해 SwiftUI의 NavigationStack은 iOS 16에서 도입된 새로운 네비게이션 구조로, 기존의 NavigationView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NavigationStack의 개념, 동작 원리, 기본 사용법, 그리고 고급 활용 방법까지 살펴보겠습니다.NavigationStack이란?NavigationStack은 SwiftUI에서 화면 간 전환을 관리하고, 뷰 계층 구조를 통해 유저가 탐색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전의 NavigationView와 달리 NavigationStack은 더욱 선언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뷰를 탐색할 수 있게 해줍니다.주요 특징:뷰 간의 스택 방식 탐색경로 기반 네비게이션 관리 (path)데이터 드리븐 탐색 지원NavigationSta.. [SwiftUI] View Modifier: 개념부터 고급 사용법까지 SwiftUI에서 ViewModifier는 뷰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변형이나 스타일을 캡슐화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ViewModifier의 개념, 원리, 기본 사용법, 그리고 고급 사용법까지 모두 살펴보겠습니다.View Modifier란?ViewModifier는 SwiftUI에서 하나 이상의 뷰에 쉽게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변형(Modifier)을 적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흔히 .padding(), .background() 등과 같은 메서드를 사용하지만, 커스텀한 변형을 정의하고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View Modifier의 원리ViewModifier는 하나의 메서드 body(content:)를 정의해야 하며, 이 메서드는 Content(적용되는 뷰)와.. Database ACID 데이터베이스에서 ACID는 트랜잭션(데이터베이스에서의 작업 단위)이 안전하게 수행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네 가지 기본적인 속성을 의미합니다. ACID는 Atomicity(원자성), Consistency(일관성), Isolation(독립성), Durability(지속성)의 약자입니다. 각각의 속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Atomicity (원자성)원자성은 트랜잭션이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거나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합니다. 즉, 트랜잭션의 모든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거나, 하나라도 실패하면 전체 트랜잭션이 취소되어야 합니다.예시: 은행 계좌 이체를 생각해보세요. A 계좌에서 B 계좌로 돈을 이체할 때, 이 과정은 두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A 계좌에서 돈을 빼.. 쉽게 풀어쓴 튜링 기계와 튜링 불완전성 안녕하세요! 오늘은 컴퓨터 과학의 깊은 물에서 튀어나온, 들으면 귀에 익숙하지만 정확히 무엇인지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인 '튜링 기계'와 '튜링 불완전성'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튜링 기계란 무엇일까요? '튜링 기계'는 1930년대에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이 제안한 이론적인 계산 모델입니다. 컴퓨터가 발명되기 전, 사람들은 "이론적으로 컴퓨터가 할 수 있는 모든 계산"이 무엇인지 궁금해했습니다. 튜링 기계는 바로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죠. 간단히 말해, 튜링 기계는 무한히 긴 테이프, 테이프 위를 움직일 수 있는 헤드, 그리고 이 헤드가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규칙(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테이프는 칸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칸에는 기호(예: 0 또는 1)가 적혀.. graceful shutdown spring: task: execution: pool: core-size: 150 max-size: 1000 queue-capacity: 1500 keep-alive: 60s shutdown: await-termination: true await-termination-period: 60s spring 을 이용한 service 운영시 graceful shutdown 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면, 위의 옵션이 빠져있는지 확인해보자. ( pool 옵션 제외 ) 이전 1 2 3 4 ··· 14 다음